인재들의 핵심, 인지적 유연성
IQ(Intelligence quotient)는 오랜 시간동안 사람들의 지능 수준을 평가하는데 쓰이던 대중적인 지표였다. 과학, 기술 분야에서는 특히나 IQ수치에 민감해하는 편이며, 이 지수가 높은 인재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IQ수치가 높다고 하여 그 사람이 창의력이 높거나 호기심이 높다는 것으로 정의할 수는 없다는 반박이 나오면서, 인재를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요구되는 핵심이 등장했다. 바로 '인지적 유연성(Cognitive flexibility)'이다.
상상력, 창의력, 호기심...모두 인지적 유연성
인류의 위대한 발견이나 성과의 핵심은 다름아닌 상상력, 창의력, 호기심이었다. 호주 건강 의학정보지인 the conversation에 따르면 현대 사회에서 특히나 인재들에게 요구되는 요소인 상상력, 창의력, 호기심이 인지적 유연성에 포함되는 것들이라고 한다. 인지적 유연성이란 서로 다른 개념들을 받아들이거나, 완전히 새롭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을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을 발휘하는 능력이다. 본인이 처한 환경에서 목표를 도달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함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과정 중 환경이 변화했을 때도 대처하여 위기를 극복해낼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사람이 최근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이라는 것이다. 영국에서는 사람의 인지적 유연성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 중이라고 한다.
인지적 유연성을 가진 사람들의 전략
인지적 유연성을 가진 사람들은 목표 지향성이 뚜렷함과 동시에 상황에 따라 적절히 경로를 변화시킬 중 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목표 달성을 우선으로 하여, 기존에 설정했던 경로를 고집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고 판단되면 망설이지 않고 다른 경로를 선택한다.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위기가 닥쳐왔을 때 그 상황에 빠르게 적응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유연한 사고를 가진 사람들의 특징이다. 회사와 기업, 사회가 이러한 인재들을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사회에서는 일이 진행되다보면 최적의 경로로 가기보다 과정 중간중간 융통성을 가지고 끈기있게 목표를 달성해나가야 하는 순간이 더 많기 때문에, 사고의 유연성을 가진 사람들은 위기를 극복해내는 능력이 탁월해 인재로서 인정을 받는다.
창의력의 핵심, 유연한 사고
앞서 언급했듯이 유연한 사고는 문제 해결에 있어 중요한 작용을 하고, 문제 해결에서의 핵심은 바로 새로운 아이디어, 창의력이다. 유연한 사고는 창의력의 핵심이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는 것 말고도, 기존에 나온 아이디어들 간의 관계망을 형성하고 관계성을 찾아내어 그들을 연결하는 것도 유연한 사고를 통해 가능하다. 이는 문제 해결 이외의 학업에서의 지식 습득, 업무 회의에서도 빛을 발한다.
치료에도 쓰이는 인지적 유연성
자폐증을 가진 아동의 치료 중 '인지적 유연성 기르기'라는 치료가 있다. 그 훈련은 환자의 인지 과제 수행 능력을 비롯하여 인간관계에서의 상호작용,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우울증 환자에게도 행동 치료(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 CBT)라는 이름 하에 인지적 유연성 기르기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치료를 받는 사람의 생각과 행동 패턴 자체를 바꿀 수 있도록 증거 기반의 심리 치료다. 예를 들어 우울증 환자가 일주일이 넘도록 친구로부터 연락을 받지 못해 상실감에 빠져있을 때, 친구가 더 이상 본인에게 관심이 없어 연락을 하지 않는다는 것에서 친구가 일이 바쁘니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것으로 생각의 유연한 전환이 일어나도록 훈련시키는 것이다.
우리 삶에 꼭 필요한 인지적 유연성
사회적 인재가 되기 이전에, 삶의 다양한 순간을 대처하고 겪어내기 위해 인지적 유연성은 모든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능력이다. 문제나 사건을 편향된 시각이 아닌 다각도에서 살펴보고, 여러 관점과 입장들을 책이나 매체를 통해 간접 경험해보며 스스로 훈련한다면 유연한 사고를 기르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의 발전과 더불어 사회의 번영을 위해서도 인지적 유연성은 필요하다. 현재 뚜렷한 해결책이 나오고 있지 않은 다양한 지구촌 문제들과 환경문제, 복잡한 국제 정세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건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수 많은 아이디어를 연결하는 자세가 사회에 요구되고 있다. 현대의 인재상이 '인지적 유연성을 가진 사람'인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다. 오늘날 인류가 가진 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인지적 유연성, 오늘부터 이를 기르기 위한 훈련을 시작해보는 것은 어떨까.
참고자료
성진규. (2021.7.12). 학습과 창의력의 핵심은? IQ가 아닌 '인지적 유연성'[인터넷 기사]. Available :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617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