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기서열의 새로운 분석방법 : SNP 마커와 NGS의 응용 #2

2021년 06월 23일

STR 분석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STR마커를 모세관 전기영동법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닌, NGS 분석법으로 STR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기존의 모세관 전기영동법 (CE)이 갖던 한계에 대해서 알아보자면, 한번에 분석할 수 있는 STR 마커의 수가 제한적이고, STR의 반복단위 영역 내부의 염기서열 변이는 확인이 불가하며, 그 영역의 반복단위의 반복횟수만 조사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인 NGS는 반복횟수와 염기서열의 정보를 알 수 있고, 영역의 반복단위 내부에 존재하는 염기서열의 변이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1]

NGS는, 미생물 내에 클로닝 벡터를 삽입하여  in vivo 상태에서 DNA를 복제해야 하는 1세대 생거법과는 달리, 세포 없이도 DNA를 복제할 수 있고, 대량의 데이터를 병렬로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NGS는 여러 DNA 조각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조립하기 때문에 표준 유전체가 필요하다.

NGS 방법에는 여러 가지고 있고, 리드길이와 PCR 증폭의 필요 여부에 따라 2세대와 3세대 기술로 나눌 수 있다. 2세대는 리드 길이가 짧고, PCR 증폭과 라이브러리 모두가 필요하지만, 3세대의 경우 리드 길이가 길고 라이브러리만 필요하다.

라이브러리는 분석하고자 하는 DNA에 어댑터를 결합시켜 증폭한 시료를 의미한다. DNA를 조각낸 후 원하는 길이이 조각을 추출해 양 말단에 어댑터를 부착시킨다. 이 어댑터의 인접 서열에 프라이머가 결합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 PCR을 통해 라이브러리를 증폭시켜 분석에 사용하는 것이다.

기존의 염기서열 분석과 방법과 NGS 분석법의 비교

2세대 염기서열 분석 방법은 리드의 길이가 짧아 반복구간이 많아져 유전체 조립 등 이후의 처리 과정이 복잡해 정확한 분석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고 보완하기 위해서 리드의 길이를 늘린 3세대 염기서열 분석 방법이 개발된 것인데, 이때 긴 리드로 인해 염기서열 분석의 정확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3세대 역시 오류 발생 가능성이 큰 편에 속한다는 한계가 있다.

1세대 염기서열 분석 방법은 개발된 지 50년도 채 안된 점을 감안하고, 지금까지 연구가 진행된 과정을 미루어 본다면 향후에는 더욱 효율적인 분석 기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2]

[1] 김은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상염색체 STR 유전자의 염기서열변이 분석과 혼합시료 분석에의 활용", Ph.D dissertation,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2014.06

[2] 성현지. (2021.02.15) . Next Generation Sequencing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Online]. Available :  https://www.bioin.or.kr/board.do?cmd=view&bid=tech&num=304945

박수진

하나고등학교 10기

Great! You've successfully subscribed.
Great! Next, complete checkout for full access.
Welcome back! You've successfully signed in.
Success! Your account is fully activated, you now have access to all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