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left(\sin\left(\cdots\sin(x)\cdots\right)\right)=0\)

수학 2020년 04월 27일

이 글은 \(\sin\left(\sin\left(\sin\left(\cdots\sin(x)\cdots\right)\right)\right)\)라는 함수, 즉 '\(0\)'이라는 상수함수에 대한 글이다. 삼각함수의 '무한 재귀함수'에 대해 알아보자.

'재귀함수'(Recursive function)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용어이다. 자기 자신을 반복하여 합성한 합성함수를 재귀함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서, \(f\left(x\right)=x^{2}\)이라는 함수가 있다면, 한 번 합성하면 \(f\circ f\left(x\right)=\left(x^{2}\right)^{2}=x^{4}\) , 한번 더 하면 \(f\circ f\circ f\left(x\right)=\left(\left(x^{2}\right)^{2}\right)^{2}=x^{8}\)과 같이 말이다.  수열의 점화식으로 이 재귀함수를 표현하는 매우 좋은 방법이 있는데, 바로 \(a_{n+1}=f\left(a_{n}\right)\)이다. 이 식은 입력값이 \(a_{n}\)항, 출력값이 수열의 그 다음 항인 \(a_{n+1}\)이고, 이값이 다시 입력값이 되어 \(f\)라는 함수에 계속 집어넣는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명료하게 표현한다.

삼각함수를 무한 번 자기 자신에 대해서 합성하면 어떻게 될까? 앞에서 본 규칙을 똑같이 적용해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삼각함수 \(\sin x\)는 \(\sin\left(\sin\left(\sin\left(\cdots\sin(x)\cdots\right)\right)\right)\)가 된다. 그냥 수식적으로 봤을 때 전혀 감이 오지 않는다. 이 함수의 합성 횟수에 따른 그래프 변화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sin x\)를 계속하여 자기 자신에 대해 합성하면 점점 \(y=0\)으로 다가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과 같이 \(\sin x\)함수가 진동하는 진폭이 작아지지만, 주기는 \(2\pi\)로 동일하며, 모든 지점이 마치 \(x\)축을 향해 다가가는 것 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직관적으로, \(\sin x\)의 무한 재귀함수는 \(0\)이라는 상수함수일 것이라고 합리적 의심을 해 볼 만하다.

'고정점'을 찾아라

수학에서 '고정점'이란 재귀함수에서 '입력값과 출력값이 같은 점'이다. \(a_{n+1}=f\left(a_{n}\right)\)일때, \(a_{n}=a_{n+1}\)이면 \(a_{n+1}=f\left(a_{n}\right)\)이므로 \(f\left(a_{n}\right)=a_{n}\)이다. 이때 \(\lim\limits_{n \rightarrow \infty}a_{n}=k\)라고 하면, \(f\left(k\right)=k\) 라는 방정식의 해, 즉 '재귀함수'와 '항등함수'의 '교점'이 '극한값'이 되는 것이다. 이 현상은 수학적으로 매우 아름다운 현상이다!

고정점 방법 도형. 재귀함수와 항등함수의 교점이 극한값이 된다. 그러나 초기조건에 따라 발산할 수도 있다.

이를 \(\sin x\)에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은 그림으로,  모든 \(a_{1}\in\left[-\frac{\pi}{2},\frac{\pi}{2}\right]\)에 대하여 \(a_{n+1}=\sin\left(a_{n}\right)\)이면 \(\lim\limits_{n \rightarrow \infty}a_{n}=0\)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극한값을 \(k\)라고 놓았을 때, \(\sin k=k\)인 \(k\)가 \(0\)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sin x\)에 대한 고정점 방법 도형. 항상 \(\lim\limits_{n \rightarrow \infty}a_{n}=0\)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과연 모든 점에서 \(0\)인가

앞서 언급한 고정점 반복법으로 무한재귀함수를 구하는 것은 \(a_{1}\in\left[-\frac{\pi}{2},\frac{\pi}{2}\right]\) 일때이고, 이는 직관적으로 쉽게 와닿는다. 왜냐하면 \(y=x\)와도 가깝고 교점이 직접적으로 보이면서, \(0\)으로 다가가는 것이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임의의 실수 \(a_{1}\)에 대해서도 \(\sin\) 무한재귀함수가 \(0\)일까?  이 논의는 너무 간단하다. \(a_{1}\)이 어떤 값일지는 처음에 모른다. 그러나 \(f\left(x\right)=\sin x\)라는 함수는 '정의역(domain)'은 실수 전체 집합이지만, '치역(range)'이 \(-1\)부터 \(1\)까지의 실수만을 가진다. 즉 \(a_{1}\)이 어떤 값이든 간에, \(a_{2}\)부터는 반드시 \(-1\)과 \(1\) 사이의 값이라는 것이다. 이때 \(1<\frac{\pi}{2}\) 이므로 처음 고정점을 논했을 때의 범위인 \(\left[-\frac{\pi}{2},\frac{\pi}{2}\right]\)는 \(\sin x\) 함수의 치역인 \(\left[-1,1\right]\)을 포함하는 범위이므로, \(a_{1}\)의 값에 관계없이 \(a_{2}\)부터 고정점에 대한 논의를 해도 함수열의 수렴성에 대한 논의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아니면 \(a_{1}\)을 \(a_{0}\)라는 상수로 놓고 한번\(f\left(x\right)\)에 입력하여 얻은 값을 \(a_{1}\)이라고 생각하고 그때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은 원리일 것이다. 따라서 \(a_{1}\)에 관계없이 \(a_{n+1}=\sin\left(a_{n}\right)\)이면 \(\lim\limits_{n \rightarrow \infty}a_{n}=0\)이다.

\(\cos\left(\cos\left(\cos\left(\cdots\cos(x)\cdots\right)\right)\right)\)

\(y=\sin x\)와 \(y=x\)가 만나는 교점은 \((0,0)\) 이다. 하지만 \(\cos x=x\)의 해는 수치적으로만 구할 수 있고, 일반적인 해는 정확한 값을 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값을 \(alpha\)라 하자. 그렇다면 \(\cos\left(\cos\left(\cos\left(\cdots\cos(x)\cdots\right)\right)\right)\)역시 상수함수로 수렴할텐데, 이는  \(\cos x=x\)의 유일한 해인 \(alpha\)라는 상수함수로 수렴할 것이다.이 알파 값은 대략 \(0.74\) 정도이다.  \(\cos x\)에 대한 무한 재귀함수는 \(a_{n+1}=f\left(a_{n}\right)\) 이라는 식에서 \(f\left(x\right)\)를 \(\cos x\)로 바꾸어줘도 상관 없지만, 이미 \(f\left(x\right)\)를 사인이라고 정해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또다른 수학적 기술로  \(\sin\left(\frac{\pi}{2}-x\right)=\cos x\)라는 점을 이용하여 \(a_{n+1}=f\left(\frac{\pi}{2}-a_{n}\right)\)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입력값을 계속 넣어줌에 따라서 재귀함수를 실행할 때 마다 \(f\left(x\right)\)인 \(\sin x\)가 \(\cos x\) 로 바뀌어서 출력값을 도출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a_{n+1}=\cos\left(a_{n}\right)\)이면 \(a_{1}\)에 관계없이 \(\lim\limits_{n \rightarrow \infty}a_{n}=\alpha\)임을 알 수 있다. 아래 사진은 \(\cos x\)의 무한 재귀함수 수렴 과정이다.

다양한 함수들의 무한 재귀함수

이 글에서는 사인과 코사인에 대해서만 무한재귀함수의 그래프를 보았다. 이 함수들은 '상수함수'로 '균등수렴'한다는 점에서 매우 특징적이며, 직관적으로 떠올리기 어렵지 않다. 하지만 또다른 합성 규칙을 가지고 재귀함수를 생성할 때, 그 함수열의 수렴성과 균등수렴 여부는 또다른 얘기가 된다. '균등수렴'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아래 링크를 참조하길 바란다.

https://ko.wikipedia.org/wiki/%EA%B7%A0%EB%93%B1%EC%88%98%EB%A0%B4

문동재

하나고등학교 9기

Great! You've successfully subscribed.
Great! Next, complete checkout for full access.
Welcome back! You've successfully signed in.
Success! Your account is fully activated, you now have access to all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