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설명하는 삼각형

사회과학 2021년 12월 01일

사랑이란 무엇일까? 무엇이 사랑일까? 이 질문에 망설임 없이 명확하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몇 없을 것이다. 여기 사랑의 형태와 구성 요소를 설명하려고 시도한 하나의 이론이 있다. 바로 사랑의 삼각형 이론이다.


사랑의 삼각형 이론

로버트 스턴버그

사랑의 삼각형 이론은 미국의 심리학자 로버트 스턴버그가 1986년에 발표한 논문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 최초로 주창되었다. 그는 사랑이 친밀감(Intimacy), 열정(Passion), 그리고 결심/헌신(Commitment)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삼각형의 세 꼭짓점이라고 보았다. 또 사랑의 삼각형이 면적이 넓을수록, 세 요소가 균형을 이루어 아래 그림과 같은 정삼각형 형태에 가까워질수록 이상적인 사랑이라고 이야기하였다.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 '친밀감'이란, 정서적 교류나 의사소통의 유무, 서로에 대한 의지 등 사랑하는 관계에서 나타나는 가까운 느낌을 칭한다. '열정'은 성적 욕구 등 서로를 낭만으로 이끄는 욕망을, '결심'과 '헌신'은 단기적으로 자신이 가진 감정을 인정하고 누군가를 사랑하기로 하는 결심, 그리고 장기적으로 그 사랑을 지속하기로 하는 헌신의 두 가지를 포함한다. 스턴버그는 세 가지 요소의 측정을 위하여 삼각형 사랑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런 측정 도구는 사랑하는 두 사람 간에 나타나는 사랑의 차이를 집어내고, 이를 변화시키기 위한 행동 양식을 제안하는 치료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전술하였듯이 이상적인 사랑은 세 요소가 균형을 이루면서 규모 역시 큰 정삼각형의 형태다. 스턴버그는 실제로 세 요소의 크기를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았지만, 현실의 세상에 완벽한 정삼각형으로 표현되는 온전한 사랑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한다. 이와 동시에 그의 연구에서는 세 요소 각각의 크기나 존재를 기준으로 사랑의 유형을 분류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졌다.


사랑의 종류

친밀감, 열정, 헌신의 세 가지 요소가 얼마나 강하게 나타나느냐에 따라 사랑의 형태는 크게 달라진다. 스턴버그는 사랑의 분류에 있어 기초가 되는 여덟 가지 하위 유형들을 분류, 정의했다.

가장 먼저 한 가지 요소만 있는 경우이다. '우정(linking)' 단계에서는 열정과 헌신이 결여된 채 친밀감만이 나타난다. 이는 주로 친한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데, 이 경우에는 강한 열정이나 상대에 대한 장기적인 헌신 없이도 장기간 관계를 유지해나갈 수 있다. 열정만이 나타날 경우에는 도취성의 '짝사랑(infatuation)'으로 칭한다. 이는 상대를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이상화하여 망상으로 치우치는 사랑으로, 강한 성적 매력을 느끼지만 헌신이나 친밀감을 쌓을 기회가 없어 보통 단기에 가볍게 끝나게 된다. 헌신만이 있는 경우는 '공허한 사랑(empty love)'으로, 사랑 없이 헌신만이 남은 상태로 결혼 생활을 지속하는 경우에서 예시를 찾아볼 수 있다.

한 가지 요소만이 결여된 종류의 사랑도 있다. 친밀감과 열정만이 나타나는 사랑은 '낭만적 사랑(romantic love)'으로, 서로에게 육체적, 감정적으로 밀착되어 있지만 사랑을 지속하려는 의지는 부족하여 장기적인 만남을 준비하려 하지는 않는다. 반면 열정 없이 친밀감과 헌신으로 구성된 '우애적 사랑(companionate love)'은 주로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육체적 매력이 약해지는 오래된 결혼과 같은 관계에서 나타난다. 사실 대부분의 낭만적 사랑은 차츰 친밀감이 생기고, 열정은 약화되면서 우애적 사랑과 같은 형태로 남게 된다. 친밀감이 없는 사랑도 있는데, 이는 '허구적 사랑(fatuous love)'이다. 할리우드 영화를 보면, 만난 지 얼마 되지도 않은 남녀가 서로에게 단기에 느껴지는 감정만으로 약혼, 결혼을 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런 경우가 허구적 사랑이다. 두 사람 사이에 시간을 두고 쌓인 친밀감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불꽃 튀는 열정만으로 헌신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허구적 사랑은 실체가 없어 보인다.

사랑의 3요소가 모두 결여된 경우는 '비사랑(non-love)'로 칭해진다. 3요소를 모두 동일한 크기로 갖추면 '성숙한 사랑(consummate love)'이 된다. 스턴버그는 우리는 모두 완전한 정삼각형의 형태를 지니는 성숙한 사랑을 지향하고 그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삼각형 이론의 시사점

사랑의 삼각형 이론은 서로 사랑하는 관계에 있는 이들의 사랑이 발달하고 변화해 나가는 단계를 어느 정도 예측하거나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전술하였듯 관계의 구성원들이 서로의 사랑의 양상을 확인하고 더욱 좋은 방향으로 발전시켜나가기 위한 행동 양식을 도출해내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삼각형 이론은 사랑의 형태 전환 등이 정확히 어떤 시점에 발생하는지의 내용까지 모두 포괄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또 관계가 일정 단계에 도달했을 때, 그 단계의 지속 기간에 따라 각각의 요소들이 어떻게 발달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도 다른 학자들의 비판을 받는 부분이다.

사랑을 분석하고 측정할 수 있는 삼각형 이론을 통해, 우리 사회가 더욱 건강한 관계를 형성해나갈 수 있기를 고대한다.


참고 문헌

[1] 한국심리학회, "사랑의 삼각형 이론," in 심리학용어사전 [Online]. Available: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8639&cid=41991&categoryId=41991

[2] 이동귀, "사랑의 삼각형 이론," in 상식으로 보는 세상의 법칙: 심리편 [Online]. Available: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33848&cid=58345&categoryId=58345

그림 1. https://www.human.cornell.edu/hd/spotlights/sternberg-wins-2018-grawemeyer-award-psychology

그림 2. http://www.robertjsternberg.com/love

Cover Image. https://unsplash.com/photos/9UD0JHnWyVE

김하원

하나고등학교 11기

Great! You've successfully subscribed.
Great! Next, complete checkout for full access.
Welcome back! You've successfully signed in.
Success! Your account is fully activated, you now have access to all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