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 스터디] #2 "마이리얼트립"으로 보는 플랫폼 비즈니스의 성공전략

경영학 2020년 12월 05일

플랫폼 비즈니스란?

비즈니스 모델을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은, "복수 그룹의 요구를 중개함으로써 그룹 간 상호작용을 환기시키고 그 시장의 경제권을 만드는 산업 기반형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정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들은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요, 바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에 아주 적합하다는 점입니다.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며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는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 네트워크의 사업적 가치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마이리얼트립 소개

마이리얼트립은 비교적 최근(코로나 이전)에 급성장한 기업 중 하나입니다. 이 업체는 투어 가이드와 여행객을 온라인으로 연결시켜주는데요, 해외여행을 가는 한국인과 해외에 체류 중인 가이드를 연결해주는 플랫폼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가이드가 일정을 모두 짜서 등록하면, 여행객은 마음에 드는 투어 일정을 골라서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서 파리 현지 가이드 투어는 '진짜 파리 맛집 투어', 미술품 거래상이 함께하는 '소더비 경매 참가 투어', 미대싱이 함께하는 '스케치 투어' 등이 있습니다. 투어 이름만 들어도 가고 싶어지지 않나요? 이처럼 진짜 그 도시를 느끼고 싶어서 자유여행이 확연하게 늘고 있는 추세인 요즘, 마이리얼트립은 여행지에서 독특한 체험을 원하는 자유여행객의 니즈를 충족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이리얼 트립의 비즈니스 모델

기존 여행사들의 비즈니스 모델과 마이리얼 트립의 비즈니스 모델은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기존 여행사들은 '패키지 여행'을 주 상품으로 이윤을 창출했습니다. 하지만 많은 여행자들이 여기에 불만을 표하기 시작합니다. 관광지에서 인증샷 찍기 정도의 체험만 가능하며, 식당의 질부터 중간에 쇼핑센터를 의무적으로 들러야하는 것까지 마음에 안 드는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패키지 상품은 여행자->여행 대리점->한국 여행사->현지 여행사->현지 가이드의 구조로 이루어져있는데, 복잡한 유통구조라는 것을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해관계가 여러번 얽히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더 마진을 남기기 위해서 계속해서 불필요한 옵션들이 추가되는 것입니다.

마이리얼 트립은 이러한 유통구조에 문제가 있다고 보아 혁신을 시도 했습니다. 가이드와 고객을 직접 연결해서 중간 중간에 발생하는 유통비용을 줄이고, 여행상품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나온 것이 P2P 중개 플랫폼인 '마이리얼트립'입니다. 오히려 비즈니스 모델을 '단순화'시킴으로서 더 성공적인 결과를 얻게 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hmm

참고문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75874&cid=42238&categoryId=51182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3/article_no/9048

이유진

하나고등학교 10기

Great! You've successfully subscribed.
Great! Next, complete checkout for full access.
Welcome back! You've successfully signed in.
Success! Your account is fully activated, you now have access to all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