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약, 색맹, 색각이상... 뭐가 이렇게 많아?

생물학 2021년 07월 11일

가끔 유튜브나 SNS에서 색각 이상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특수 제작한 안경을 씌워주고, 그들의 반응을 찍는 영상들을 보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1. 처음으로 색깔 있는 세상을 본 아버지의 반응

색각 이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운전 면허를 취득하는 데에도 제한이 있으며 경찰, 소방관 등의 업무를 수행할 때 색각 이상으로 인해 자신의 역량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 한다고 한다. 이렇게 세상을 제대로 볼 수 없게 하는 질병인 색각 이상은 무엇이며, 색약과 색맹, 그리고 색각 이상이 어떻게 다른지도 한 번 알아보자.


색각 이상이란?

색각 이상은 시력에 문제가 생겨서 색깔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 그리고 이 색각 이상에서 정도에 따라 어느 정도 색깔 구분이 가능할 경우에는 색약, 특정 색깔을 완전히 알아보지 못할 경우에는 색맹으로 부르게 된다.

색각 이상은 망막의 원추 세포(원뿔 세포)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데, 원추 세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빛을 인식하여 색깔에 대한 신호를 뇌에 전달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1] 원추 세포에 이상이 생기는 가장 큰 원인은 유전적인 원인이다. 특히나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적록 색각 이상이 생길 확률이 높은데, 이는 색각 이상을 결정 짓는 유전자가 성 염색체인 X염색체 위에 있기 때문이다. 여성의 경우 XX로, 두 X염색체 모두 열성 유전자를 갖고 있어야만 색각 이상이 나타나는 것에 반해, 남성의 경우 XY로 한 X염색체만 색각 이상 유전자를 갖고 있어도 발현되기에 확률적으로 남성이 더 빈번하게 색각 이상이 발현된다.[2]


선천적 VS. 후천적 원인

색각 이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태어날 때부터 색각 이상을 지니는 선천적인 원인과 태어난 이후 문제가 발생하는 후천적인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선천적인 원인을 살펴보자면, 앞서 말한 유전적인 요소가 이곳에 포함되고 시신경이 약하게 태어나는 경우 또한 선천적인 경우에 속한다. 후천적인 원인은 원추 세포가 있는 망막과 관련된 질병들로부터 색각 이상이 주로 발현되는데, 예를 들면 황반변성, 망막의 손상이 있다. 그리고 시신경이 약해져도 발병 확률이 높아지는데, 녹내장이나 시신경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색각 이상에 훨씬 걸리기 쉬워진다.


치료하는 방법

그림2. 색각 이상을 검사할 때 쓰는 검사표

 위 그림과 같은 색각 이상 검사표를 한 번쯤은 보았을 것이다. 이 검사표를 이용해서 색각 이상이 있는 지에 대한 검사를 한다.

선천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원인에 따라서 치료하는 방법이 다른데, 유전 등으로 인해 태어날 때부터 색각 이상에 취약하거나 이미 색각 이상을 지니고 태어난 경우엔 안타깝게도 아직까지 마땅한 치료법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여러 외상이나 안과 질환들로 인해 색각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그 원인이 되는 증상을 치료하면 호전될 수 있다고 한다.[3]


색각 이상자들의 삶

서론에서 잠깐 다룬 듯이, 색각 이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일상을 편히 생활하기 어렵다. 직업에서 기회가 적어지는 것 뿐만 아니라, 길을 걸어갈 때에도 적록 색맹을 앓고 있다면 신호등 색을 구별하지 못해 다른 사람들을 따라갈 수 밖에 없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국가 인권 위원회가 그동안 쓰던 색맹이라는 단어가 색각 이상자들의 인권을 보장하지 못하는 어휘 선택일 수 있다고 판단하여 색약을 경도 색각 이상, 색맹을 중증 색각 이상으로 고쳐 부르도록 권장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색각 이상자들을 향한 관심이 나날이 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색각 이상자들만을 위한 법도 언젠가는 입법 되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1]사이언스올, 원추 세포[圓錐 細胞, Cone cell] [Online]. Available : https://www.scienceall.com/원추-세포圓錐-細胞-cone-cell/

[2]교육부, 왜 여자보다 남자에게 적록 색맹이 많을까? [Online]. Available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 isHttpsRedirect=true&blogId=moeblog&logNo=220507197669

[3]서울아산병원, 색약 [Online]. Available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49

그림1 : https://www.youtube.com/watch?v=5NC1u8mVRnY

그림2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oeblog&logNo=220507197669

cover image : https://pixabay.com/ko/photos/형제-자매-친구-동생-여동생-862967/

안우현

I am a person on the website

Great! You've successfully subscribed.
Great! Next, complete checkout for full access.
Welcome back! You've successfully signed in.
Success! Your account is fully activated, you now have access to all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