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렌즈, 소프트렌즈, 하드렌즈... 뭐가 이렇게 많아?

생물학 2021년 10월 18일

아마 많은 학생들이 여러 가지 목적으로 콘택트 렌즈를 껴보았거나 끼고 있을 것이다. 콘택트 렌즈는 안경처럼 앞을 잘 볼 수 있게 해주며 굴절 이상을 교정하고 눈을 건강하게 유지시키는 작은 렌즈이다. 하지만 콘택트 렌즈라고 하여서 다 같은 콘택트 렌즈가 아니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콘택트 렌즈는 크게 소프트 렌즈와 하드 렌즈로 나눌 수가 있는데, 오늘은 소프트 렌즈와 하드 렌즈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어떤 상황에 어떤 렌즈가 알맞는지 등을 알아보겠다. 추가로 렌즈를 사용할 때 조심해야 할 부분이나 렌즈가 불러올 수 있는 영향들도 살펴보고자 한다.


소프트 렌즈란?

사진1. 물놀이를 갈 때엔 일회용 렌즈가 유용할 것이다.

소프트 렌즈는 수분을 잘 머금을 수 있는 재질로 만들었으며 질감이 부드러운 콘택트 렌즈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소프트 렌즈는 굉장히 부드럽기에 하드 렌즈보다 이물감이 적으며 각막에 대한 압박이 적게 느껴진다. 또한 소프트 렌즈는 쉽게 빠지지 않으며 빨리 적응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모든 면에서 완벽한 콘택트 렌즈라고는 할 수 없다. 소프트 렌즈는 건조증이 생기기 쉬운데, 이는 하드 렌즈보다 산소 투과율이 낮아 생기는 것이다. 그리고 심한 난시를 가진 사람에게는 하드 렌즈보다 난시 교정이 덜 된다. 소프트 렌즈에는 한 번 쓰고 버리는 '원데이 소프트 렌즈'와 2주 동안 쓰고 버리는 '2주용 소프트 콘택트 렌즈', 그리고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홍채 렌즈, 컬러 렌즈 등이 있다. '원데이 소프트 렌즈'의 경우 렌즈를 일일이 보관하지 않아도 되기에 매우 편하지만, 그렇다고 하여 각막과 관련된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는 생각은 옳지 않다. [1]


하드 렌즈란?

사진2. 우리가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소프트 렌즈.

하드 렌즈는 실리콘과 불소 화합물로 만든 콘택트 렌즈로, 산소를 직접 공급해주기 때문에 각막에 상대적으로 무리가 가지 않는 렌즈이다. 하드 렌즈는 시력을 교정하는데에 훨씬 효과적이며 소프트 렌즈보다 건조증이 덜 생긴다. 또한 렌즈의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잘 관리하면 경제적인 렌즈 소비를 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 각막염과 같은 질병들이 다른 렌즈에 비해 덜 일어나므로 장기간 착용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역시나 하드 렌즈도 완벽한 렌즈는 아니다. 가장 큰 문제는 적응 기간이 길며 상당한 이물감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초기 비용이 비싸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하드 렌즈에는 자는 동안 끼며 시력을 교정하는 '드림 렌즈'와 구면의 모양을 가진 '구면 렌즈', 각막의 구조와 일치하는 '비구면 렌즈', 그리고 난시 교정을 목적으로 하는 '난시용 렌즈' 등이 있다. [2]


렌즈 보관법

사진3. 렌즈 보관은 렌즈 보관 전용 용액에.

렌즈를 보관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 점은, 렌즈를 렌즈 세척액, 보관액에만 넣어 보관해야 한다는 것이다. 렌즈를 수돗물에 보관하게 되면 알레르기 각막염이나 각종 염증에 노출될 확률이 현저히 높아진다. 그리고 보관액에 넣고서도 4시간 이상 충분한 소독을 해주어야 감염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3] 콘택트 렌즈에는 아주 미세한 구멍들이 뚫려있는데, 이 구멍들은 산소와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렌즈를 오래 끼다보면 이 구멍들이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히게 되는데 세척을 하면 이러한 구멍들에 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세척은 매우 중요하다.


렌즈 사용의 부작용

가장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안구 건조증이 있다. 렌즈가 눈과 산소의 접촉을 방해하고 안구의 수분을 가져가는 현상을 유발하기에 뻑뻑함과 함께 안구 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각막상피미란이 있다. 이 질병은 렌즈의 잦은 사용으로 인해 각막 상피가 떨어지고 반복해서 발병하면 재발성 각막 상피 미란으로 진단한다. 안구 건조증과 각막 상피 미란이 어느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더 심각해지면 각막 궤양에 이르게 된다. 각막 실질을 포함한 각막 상피층이 파열되는 질병으로, 각막 일부분이 움푹 파이며 바이러스의 침입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시력 저하는 물론 시력을 잃을수도 있는 아주 무서운 질병이다. 이러한 부작용들을 줄이기 위해서는 청결한 렌즈 사용과 믿을만한 구입처에서 렌즈를 구입해야 한다. 또한 12시간 이상의 장기간 착용은 피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4]


참고문헌

[1]연세본안과, 콘택트 렌즈의 종류[Online]. Available : https://www.yonseibon.co.kr/%EC%BD%98%ED%83%9D%ED%8A%B8%EB%A0%8C%EC%A6%88%EC%9D%98-%EC%A2%85%EB%A5%98/

[2]아이시티 안과의원, 소프트렌즈[Online]. Available : https://www.eyecity.co.kr:52290/html/04_clinic/0201_hard.php

[3] fn아이포커스, 렌즈 보관, 아무렇게나 하면 안돼...제대로 보관하는 Tip[Online]. Available : https://www.fneyefocu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05

[4] 수원안과, 에스안과의원, 렌즈부작용[Online]. Available : https://suwonseye.co.kr/lense/page04.html

사진1. https://pixabay.com/ko/photos/%ec%95%88%ea%b2%bd-%ec%88%98%ec%98%81-%ec%88%98%ec%98%81%ec%9e%a5-%ec%97%ac%eb%a6%84-%eb%ac%bc-6276226/

사진2. https://pixabay.com/ko/photos/%eb%a0%8c%ec%a6%88-%ec%bd%98%ed%83%9d%ed%8a%b8-%eb%a0%8c%ec%a6%88-%eb%88%88-%eb%a0%8c%ec%a6%88-4818784/

사진3. https://pixabay.com/ko/photos/콘택트-렌즈-4792983/

Cover Image : https://pixabay.com/ko/photos/렌즈-콘택트-렌즈-눈-렌즈-4818776/

안우현

I am a person on the website

Great! You've successfully subscribed.
Great! Next, complete checkout for full access.
Welcome back! You've successfully signed in.
Success! Your account is fully activated, you now have access to all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