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추억을 기억하는 감각 #1

생물학 2021년 05월 31일

어디선가 풍겨오는 추억

우리는 때때로 걸음을 멈추고 어디선가 풍겨오는 향기에 집중하고는 한다. 그 향기는 기억 구석에 숨어있던 추억들을 끄집어내, 그때로 돌아간 듯한 느낌을 준다. 마치 "해리 포터"의 펜시브*에 들어간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우리가 마법사는 아니기에, 과학을 통하여 이 현상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프루스트 효과는 무엇인가?

위와 같이 특정한 향기를 맡았을 때 과거의 기억이 그 당시의 감각과 감정을 동반하여 일어나는 현상을 심리학에서는 '프루스트 효과(Proust Phenomenon)'라고 부른다 [1]. 이는 프랑스의 작가인 마르셀 프루스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그는 홍차에 적신 마들렌의 냄새를 맡고 어린 시절의 추억이 기억난 경험으로부터 착상하여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라는 소설을 집필하게 된다.

프루스트 효과를 이해할 수 있는 예시를 몇 개 더 가져와 보겠다. 이 생소한 현상은 우리와 굉장히 친숙한 영화들에 등장한다.

위 사진은  많은 사람들이 본 경험이 있을, 짱구는 못말려의 극장판 시리즈 중 '어른제국의 역습' 편의 한 장면이다. 짱구는 어려진 아버지에게 그의 발냄새를 맡게 해 잊었던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아버지는 냄새를 통해 그의 인생을 추억하며 본래 나이로 돌아오게 된다. 또한 내용 중에서 악역이 20세기의 냄새를 통해 어른들을 아이로 돌아가게 만드는 등, 프루스트 효과에서 착안한 듯한 설정을 바탕으로 한 영화이다.

그림 3. 라따뚜이

위 남자는 2007년에 개봉한 영화 '라따뚜이'의 등장인물인 안톤 이고이다. 음식 평론가인 그는 주인공의 요리를 먹고 잊었던 어릴 적의 추억을 떠올리게 된다. 후각이 미각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므로 [2], 이도 어쩌면 프루스트 효과의 예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겠다.

왜 하필 후각인가?

여기까지 읽었다면 다들 비슷한 의문을 가지게 될 것이다. 왜 하필 프루스트 효과의 방아쇠가 후각인 것인가? 심지어 인간에게는 훨씬 더 강력한 감각인 시각이 있는데도 말이다 [3]. 이는 뇌의 구조와 큰 관계가 있다.

좌측 그림은 후각 기관계를 도해한 것이다. 후각 기관 외부에서부터 후각 망울(Olfactory bulb)까지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우측의 변연계 도해를 보면 후각 망울이 편도체(Amygdala)와 내후각피질(Entorhinal Cortex), 그리고 해마(Hippocampus)까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나타난다 [4]. 이를 바탕으로 조금 더 자세한 작용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후각 망울은 후각 신호를 받아 전달하는 후각 기관계의 중추이다. 후각 신호가 망울에 도착하면 승모 신경 세포(Mitral Cells)는 축삭을 뻗게 되는데, 이는 내측 편도와 내후각피질(Entorhinal cortex), 해마 등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편도체는 감정 중추의 역할로서 해마와 더불어 정서적 기억(Emotional Memory)를 저장한다. 또한 내후각피질은 본래 기억을 연계하는 네트워크 허브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후각에 있어서는 알맞은 기억과 냄새를 연결시킨다.

핵심은 후각 신경에서 대뇌 변연계로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짧고 단순하다는 것이다. 시각, 청각, 촉각 등의 감각은 대뇌까지 이르는데 시상(thalamus)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긴 여정이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정제되어 단순화된다. 하지만 후각은  감각들 중 유일하게 구조적으로 시상을 거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교적 더 자세한 정보가 그대로 기억으로 저장된다 [5].

이와 같은 이유로 후각이 일련의 기억을 상기시키고, 때로는 향수와 함께 당시의 감정을 불러일으키기도 하는 유일한 감각인 것이다 [6].

추억의 방아쇠, 후각

위의 복잡한 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후각은 우리에게 생생한 기억을 선물해준다. 그러니 이 글을 읽는 독자들도 어디선가 익숙한 향기가 풍긴다면, 잠시 멈춰서서 추억을 회상해 보는 것은 어떻겠는가. 마지막으로는 "침묵의 봄"의 저자인 레이첼 카슨의 말로 글을 끝마치도록 하겠다.

For the sense of smell, almost more than any other, has the power to recall memories and it is a pity that you use it so little. - Rachel Carson

*영화 '해리 포터'에 등장하는 마법 도구로, 사람의 기억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Proust phenomenon [online]. Available: https://dictionary.apa.org/proust-phenomenon

[2] Marvin P. Fried. 2020, April 13. Overview of Smell and Taste Disorders [online]. Available: https://www.msdmanuals.com/en-kr/home/ear,-nose,-and-throat-disorders/symptoms-of-nose-and-throat-disorders/overview-of-smell-and-taste-disorders

[3] 고재현. (2005, Sep 7). 눈과 시각 [Online]. Available: https://www.sciencetimes.co.kr/news/눈과-시각/

[4] 천병수, “뇌의 작용,” in 뇌의 세계., Seoul, Republic of Korea: 유한문화사, 2010, p. 34, p.82.

[5]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신장애의 신경생물학," in 신경정신의학, 2th ed., Republic of Korea: 중앙문화사, 2005, pp.18-26.

[6] James W. Kalat, "기타 감각계와 주의," in 생물심리학, 8th ed., Republic of Korea: 시그마프레스, 2006, pp.251-256.

그림 1 : https://ohfun.net/contents/article/images/2016/0907/1473244020352733.jpg

그림 2 : https://ohfun.net/contents/article/images/2016/0908/1473330071771206.jpg

그림 3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605C3B5BFBFE691A

그림 4 : https://www.mediamatic.net/en/page/239168/limbic-system-of-the-brain

그림 5 : https://www.shutterstock.com/ko/image-vector/cross-section-through-brain-showing-limbic-400615222

Cover Image : https://www.pexels.com/ko-kr/photo/321581/

서은성

하나고등학교 12기

Great! You've successfully subscribed.
Great! Next, complete checkout for full access.
Welcome back! You've successfully signed in.
Success! Your account is fully activated, you now have access to all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