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감각이 하나로, 공감각
공감각이란?

공감각(共感覺, synesthesia)는 감관영역의 자극으로 하나의 감각이 다른 영역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현상이다.[1] 우리가 흔히 문학을 공부하다 보면 볼 수 있는 용어인 ‘공감각적 심상’과 비슷한 맥락인데, 의학적으로 공감각은 전체 인구의 4% 정도에서 나타나는 질병과도 같다. 보통 신체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받는 물리적 자극은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총 5가지의 감각 인상으로 일대일 대응을 이룬다. 하지만 공감각을 가진 사람은 이러한 감각들이 한데 뒤섞인다. 가령, 영국의 제임스 워너튼(James Wannerton)은 소리에서 맛을 느끼는 공감각을 가지고 있다. 그는 들리는 소리마다 모두 다른 맛과 질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또, 다음웹툰의 ‘겨울과 봄사이’라는 작품의 여주인공은 소리에서 색을 보는 공감각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감각은 선천적으로 유전되기도 하고 후천적으로 생겨나기도 한다. 영국 TV 프로듀서였던 바네사 포터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72시간 만에 시각을 잃었지만 몇 주 뒤 시력이 돌아오며 색이 보이면서 소리도 같이 들리는 공감각을 가지게 되었다.
공감각의 원인
이러한 공감각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가설이 있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설명은 뇌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부위인 시상에서 정보처리의 혼선이 일어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다른 설명으로는, 성장하며 경험과 학습을 통해 미분화 상태인 뇌에서 불필요한 감각의 연계가 삭제되어야 하지만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보는 이론이 있다. 또, 경계가 모호한 감각들이 관련된 감각 통로로 통합되어 처리된다는 이론도 있다. 최근 2018년 3월에 발간된 ‘사이언스’지에 기재된 뇌과학자 시몬 피셔(Simon Fisher) 박사의 연구에는 공감각의 원인이 되는 소수의 유전자가 발견되었다. 연구팀은 소리와 색상을 교차해 인지할 수 있는 공감각을 가지고 있는 세 가족에게서 유전 변이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족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유전자 사이에서 유사한 패턴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그 중 특히 6개의 변이된 유전자가 뉴런의 축삭돌기 세포 연결부위에 있음을 확인했다. 이 유전자들은 성장과정에서 청각과 시각을 담당하는 뇌피질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였다.[2] 이러한 연구와 이전의 연구 결과들을 통해 공감각 경험자들은 보통 사람들보다 신경세포가 더 촘촘하게 연결되어있고, 이가 변종 유전자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SD도 공감각?
앞서 언급된 후천적 공감각과 같이, 공감각은 꼭 질병뿐만 아니라 약물 복용이나 외상, 간질 등을 겪어도 발견되기도 한다. LSD를 복용하면 공감각과 비슷한 감각전이를 경험할 수 있다. 2016년, 영국의 데이비드 넛(David Nutt) 교수와 연구진들이 발표한 뇌영상에 따르면 LSD를 복용하면 시각 정보를 일차적으로 시각 피질만이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영역이 개입해 뇌의 기능적 연결성이 증가한다.[3] 그렇기 때문에 소리를 들으면 색이 보이는 등의 감각 전이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인지하는 색에 일관성이 없다는 점에서 공감각과 차이를 보인다.
공감각 연구의 전망
공감각은 자극들을 색다른 방법으로 느끼고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창의력과 깊은 연관이 있다. 최근에는 후천적 공감각을 이용해 창의융합형 인재를 육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며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동향을 보인다. 공감각에 대한 연구가 더욱 발전한다면 인간의 인지능력의 차원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1] 두산백과, 공감각
[2] M. Price, “Synesthesia’s mysterious ‘mingling of the senses’ may result from hyperconnected neurons,” Science, 2018.
[3] D. Nutt et al., “Neural correlates of the LSD experience revealed by multimodal neuroimaging,” PNAS, 2016.
그림 1: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0/Synesthesia.svg/300px-Synesthesia.svg.png
Cover Image: https://pixabay.com/images/id-1000062/